본문 바로가기
728x90

사업4

프랜차이즈VS일반식사집 어느곳에서 일 배우는것이 좋을까? -소소 블로그 출처- 프랜차이즈에 일 배우는 과정. 프랜차이즈에서는 본사에서 소스류나 심지어 야채까지 썰려 나오는 경우가 많다. 중요한 소스류에 무엇이 들어갔는지 만들 수 있는 과정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레시피를 알 수 있는 것이 한계가 있다. 그밖에 불판이나 튀김 면 삶는 것 등은 배울 수 있으나 튀김도 온도가 정해져 있는 린나이 튀김기나 면도 면 전용 삶는 면기가 아닌 국수용으로 넣었다 하는 걸로 건지거나 한다. 면도 따로 받아쓰거나 해서 반죽일을 배울 수가 없다. 중식에서 배울수 있는 것들을 정석으로 하지 않고 어느 정도 건너뛰는 경우가 많다. 일반식사집에서 배우는 과정. 일반식사 집에서는 소스류를 계량해서 g 단위로 만들고 끓이고 한다. 다양한 소스류 레시피를 배울 수 있다. 튀김도 일반 큰 냄.. 2023. 3. 30.
중국집 창업 하려면 얼마정도 비용이들까? 창업하려면 주방 물품부터 가게세 인테리어 공사비 식자재까지 돈들어가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작게 하는 경우는 몇천만 원부터 많게는 수억 단위까지 들어가고 그 이상인 분들도 많다. 부부끼리 기준 장사에서는 적어도 기본 3~4천 정도는 잡아야 대략적인 창업 모습이 갖춰진다. 그나마 중국집은 인테리어에 많은 신경을 안 쓰고 하는 경우가 많기에 대부분 손봐가면서 불필요한 부분 인건비 공사 줄이고 본인이 직접 한 경우다. 하지만 대부분 대출을 이용해서 장사하지 않는가? 최대한 빚 없이 시작하는 경우가 좋고 빚이 있다면 장사가 안될 시에 버티기 힘들수도 있다. 꼭 다른 사람이 하면 잘되도 본인 이하면 무슨 일들이 여기저기 터진다. 장사하다가 돈 갚아나간다는 안일한 생각은 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램이다. 다만 현실적.. 2022. 5. 7.
무권리에 장사가 좋은 선택일까? 장사를 시작 할려면 이전 사람과의 계약중에서 무권리 바닥권리금 시설권리금 크게 3가지로 나뉜다. 내가 범한 실수중 하나는 무권리 이다. 역으로 보면 주인과 계약만 하면 끝인데 돈이 더 안들고 좋은거 아닌가? 할수있는 의문이 든다. 시설권리금이 없다는 뜻은 이전 사업주가 장사가 잘 안되서 기존 사업할때 시설비조차 받지 않고 나간다는 뜻이고 바닥권리금이 없다는 것은 지역경제와 입지가 좋지 않다는 뜻이다. 배달하는곳은 입지는 크게 상관 없지만 홀이나 또는 홀+배달 장사를 하려면 입지는 중요하다. 홀인데도 불구하고 크게 놓친 부분이다. 장사를 하고 들어와서 먹고 하는 손님 한 마디가 귓가에 맴돈다. 여기 사장님 ~~! 자주 바뀌네요? 제가 본것만 4번이 넘네요..? 부동산 계약할때도.. 집주인과 계약 할때도.... 2022. 3. 20.
사업정리 하며 아픈기억의 쓰라린 상처 사업의 결과물은 사진 한장으로 다한다. 요리하는 사람의 직업은 최종적으로 사업이란 두단어를 거친다. 물론 사업도 젊을때 해야 실패해도 잃어설수 있다는 교훈은 있지만 현실에서는 나이가 많고 적음을 떠나서 아픈 상처는 크게 다르지 않다. 적어도 대한민국에서 사업의 경쟁구도에서 살아남기란 결코 녹록치 않다. 최선의 노력을 다 했는가에 대해서는 아닐수도 맞을수도 있다. 사업을 하기전에도 요식 경험과 어릴때 돈까스 사업 200평 요식업 실장을 겸하면서도 많은 경험치를 쌓았고 그 성과는 최고는 아니였지만 나쁘지 않는 결과물들이 었다고 말할수있다. 몇번 넘어져도 일어나면 괜찮은 걸까? 돈많은 사람과 여유자금이 많은 사람의 사치라고 본다. 적어도 내 기준에서는 넘어지면 많은 아픔을 경험하고 물질적 손해를 감당해야 한다.. 2022. 3. 17.
728x90